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3-09-05 12:53:51
0 9 0
[경제] 中 2차전지 생산능력 자국 수요 두 배… 세계 시장 덤핑 우려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中 2차전지 생산능력 자국 수요 두 배… 세계 시장 덤핑 우려
내용

 

입력2023.09.05. 오전 4:05

 

막대한 정부 보조금 받으며 성장  
FT “과거 태양광 제품과 같은 패턴”
과잉생산 현실화… 저가 공세 긴장

중국 관람객들이 4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국제서비스무역박람회(CIFTIS)’ 행사장에서 테슬라 자동차를 둘러보고 있다. 테슬라는 중국 현지 공장에서 ‘모델3’ 전기차에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해 생산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생산능력이 올해 자국 수요의 두 배를 넘을 것으로 분석됐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받는 중국 배터리 제조사들의 저가 물량 공세로 저가 태양광패널처럼 글로벌 배터리시장이 중국에 장악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3일(현지시간) 원자재시장 분석업체인 CRU그룹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 배터리사들의 생산능력이 올해 1500기가와트시(GWh)에 달할 것”이라며 “이는 전기차 2200만대분으로, 중국의 올해 배터리 수요 예측치(636GWh)의 236%에 해당한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중국은 전기차와 대규모 에너지저장 수요를 훨씬 뛰어넘는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며 “중국 제조업체의 국제적 확장을 지원하는 막대한 보조금과 무제한 은행 대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내 지방도시까지 배터리 생산 중심지가 되려고 경쟁을 가열하면서 과잉생산 위험이 더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CRU그룹 샘 애드햄 배터리 분야 책임자는 신문과의 접촉에서 “많은 제조업체가 과잉생산으로 재고를 쌓아놓고 있다”며 “지난해 중국 배터리 생산량은 550GWh로 최종 제품에 들어가 수출된 450GWh를 앞질렀다”고 말했다.

이미 발표된 중국 배터리공장 건설계획에 따르면 오는 2027년에는 과잉생산량이 내수 필요용량의 4배 가까이 급증하고, 2030년이면 중국의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용량의 배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FT는 “현재의 양상이 철강 알루미늄 태양광패널 등 분야에서 중국이 세계시장을 장악했던 패턴과 유사하다”며 “저가 태양광 제품을 쏟아내 외국기업들의 채산성을 압박했던 방식으로 중국업체들은 배터리 해외 덤핑에 나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스웨덴 배터리 제조업체인 노스볼트의 패트릭 안드레아슨 부사장은 “유럽의 대용량 에너지저장 부분은 중국 수출(공세)에 특히 취약하다”며 “중국의 저가 배터리를 대량 수입하면 유럽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달성 계획은 붕괴한다. 큰 전략적 실수가 될 일”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배터리업체들은 서방의 공급망 다각화 전략에 따라 해외 현지 합작도 추진 중이다. 세계시장 점유율 37%를 차지하는 CATL은 지난 2월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와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계 엔비전 AESC도 인도 타타그룹의 영국 배터리공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중국의 배터리 과잉생산이 서방과의 새로운 갈등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상무부는 불법 보조금을 문제 삼아 10년 넘게 중국산 태양광 관련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물려왔다. 중국 기업들은 이를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완제품을 우회 제조하는 방식으로 ‘생산지 세탁’에도 나서고 있다.

FT는 “과잉생산 문제가 악화되면 덤핑 수출에 나서는 중국 배터리기업이 늘어나고, 이는 중국과 서방 간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imung@kmib.co.kr)

원문
출처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