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소식 해외의 최신 소식을 전합니다.
해외소식2024-02-27 12:07:10
0 1 0
잘못 꺼냈다간 위폐범 의심…시중서 증발한 '100달러 지폐'
내용

입력2024.02.26. 오후 10:00  수정2024.02.26. 오후 10:01  

 

100달러 유통량, 1달러보다 42억장 많아
대부분 보관용…사용 시 '위조' 의심 받기도미국에서 100달러 지폐 발행량이 10년 만에 두 배로 늘어 최대 유통 지폐가 됐다. 반면 실생활에서 100달러 지폐로 결제하는 데는 제약이 많아 사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도 동시에 가진다. 

2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0달러짜리 지폐 유통량이 몇 년 사이 크게 늘어 최대 유통 지폐가 됐지만 여전히 계산원이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지폐로 인식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22년 기준 100달러 지폐 유통량은 185억장으로, 1달러 지폐 143억장보다 42억장이나 더 많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계를 보면 2012~2022년 10년 새 100달러 지폐 유통량은 115%가량 늘었다. 이는 미국의 지폐 권종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는 것이다.
 

미국 100달러 지폐[이미지출처=픽사베이]

100달러 지폐는 통계상으로는 이처럼 많이 유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사용하기는 쉽지 않다. 지폐의 절반 이상이 해외에 나가 있고 미국 내에서는 보관의 용도로 많이 쓰일 뿐 실생활에서 지급 용도로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에 사는 레이자 사이슨(26)은 최근 뉴욕의 한 벼룩시장에서 100달러 지폐를 사용하려 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했다. 판매자들은 거스름돈이 없다거나 디지털 결제만 가능하다며 고액권 결제를 거부했다. 이는 카페나 과일가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00달러 지폐를 내면 위조지폐가 아닌지 의심부터 받기에 십상이다. 세이지 핸들리(23)는 "100달러 지폐를 쓰려하면 모든 이가 합법적인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WSJ 기자가 맨해튼의 한 상점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100달러 지폐를 내자 계산원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한 사람은 진짜인지 확인하기 위해 지폐를 불빛에 비춰봤으며, 또 다른 계산원은 위조지폐에 접촉하면 검게 변하는 감별 펜을 사용하기도 했다. 일부 매장은 위조지폐 감지기까지 동원했다. 

고액권 지폐가 실제로 잘 통용되지 않는 것은 금액이 큰 상품을 결제할 때는 주로 카드를 쓴다는 인식 때문이다. 미국 소비자들은 현금으로 결제할 때 평균 39달러를 지출한 반면, 신용카드로 결제할 때는 95달러를 썼다.

자취 감췄던 오만원권 돌아오는 한국

설 명절을 앞둔 지난 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현금 운송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될 설 자금 방출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편 한국의 경우, 오만원권 환수율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지난해 오만원권 환수율이 67.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8년 기록했던 67.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오만원권 환수율이 높아진 것은 코로나19 이후 대면 상거래 회복에 따른 화폐 환수경로의 정상화와 금리상승으로 인한 예비용 화폐수요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4조~6조원 수준까지 감소했던 오만원권 환수금액은 2023년에는 14조1000억원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봤다. 

고액권 환수율은 금리와도 관련이 있다. 최근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보유의 기회비용 증가 등으로 예비용 및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수요가 줄어들어 코로나19 기간에 대규모 순발행된 자금이 환수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오만원권 환수율은 단기적으로는 시중금리 향방에 영향을 받는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비현금 지급수단 확산 추세, 오만원권 유통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5년간 오만원권 환수율은 2018년 67.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19년 60.1% ▲2020년 24.2% ▲2021년 17.4% ▲2022년 56.5%로 감소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67.1%로 급증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스크랩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