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식 중국의 최신 뉴스를 전합니다.
중국소식2024-01-15 12:04:35
0 2 0
[사회] 수요 정체 K배터리, 中 소부장 활용하나
글쓴이 뉴스팀 글잠금 0
제목 수요 정체 K배터리, 中 소부장 활용하나
내용

 입력2024.01.14. 오전 11:02  수정2024.01.14. 오후 5:32

 

수익성 확보 최대 과제 부상
중국산으로 원가 절감 검토
기술·납기 등 경쟁력 떨어져
美 IRA 대응 걸림돌 우려도

국내 배터리 공급망 진입한 중국 소재 기업
전기차 수요 둔화로 국내 배터리 업계에 수익성 확보가 최대 과제로 떠오르면서 후방 산업계에 변화의 조짐이 엿보인다. 원가절감을 위해 중국산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활용을 늘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영향이 주목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원가절감을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나섰다. '구조적 원가 경쟁력 확보'(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글로벌 최고 수준 원가'(최윤호 삼성SDI 사장) '흔들림 없는 원가 경쟁력'(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 등 최고경영자들이 직접 화두를 던졌고, 현업에서도 실제 이를 소부장 업체들에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한 배터리 협력사 관계자는 “고객사를 통해 올해 상황이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납품 단가를 많이 인하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면서 “일부 회사의 경우 중국업체 수준으로 단가를 맞춰달라는 요청까지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체들은 지난해 고속 성장하다가 하반기 들어 수요 정체를 겪었다.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전기차 판매가 주춤하면서 재고가 쌓이고 주문이 줄어든 것이다. 단기적 둔화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가파른 성장세에 급제동이 걸리면서 실제 실적이 꺾이기 시작했다.

판매가 줄고 있는 상황에 수익성 확보는 기업에 피할 수 없는 과제다. 그런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급망 다변화, 특히 일부 기업의 경우 중국산 제품 사용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눈길이 쏠린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캔과 케이스, 알루미늄 파우치, 부스바 등 부품과 배터리 생산에 사용되는 소모품 공급망에 중국 업체가 신규 진입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차전지 부품 제조사 관계자는 “배터리 셀 제조사가 수익성 방어를 위해 중국산 부품을 쓸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며 “중국 소부장 기업들이 한국 배터리 공급망에 진입하기 위해 적자를 감수하면서 저가 수주에 나설 수도 있는 만큼 국내 협력사들은 기존 고객사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현재 배터리 소재에서는 음극재(BTR, 즈천과기, 샨샨), 전해액(캡켐, 궈타이화룽), 분리막(상하이에너지, 시니어) 등 중국 기업이 국내 배터리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장비는 문을 두드리는 단계다. 중국 장비사 항커커지가 SK온 공급망 진입했지만 아직 일부에 그치고 있고, 선도지능(우시리드 인텔리전트)·잉허커지 등이 국내 합류를 추진 중이다.

여기에 더해 배터리 부품과 소모품 분야에서도 중국산 제품의 국내 배터리 공급망 진입이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산 소부장은 가격 측면에서 이점이 두드러진다는 평가다. 일부 부품과 장비 단가 가격은 국내 제품보다 20% 이상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 전기차 시장을 기반으로 물량 공세를 펴고 있다는 평가다.

원가절감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 제조 업체와 새로운 고객이 필요한 중국 소부장과의 이해관계가 일치, 국내 배터리 공급망과 후방 산업계에 변화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중국산 소부장은 기술이나 납기 측면에서 국내 기업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게 중론이다. 가격 우위에도 중국산을 활용하면 배터리 품질이 떨어질 수 있는 만큼 기업 내부에서 도입을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산 소부장 활용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이 쉽지 않은 점도 부담이다. 미국 행정부는 최근 해외우려기업(FEOC) 세부규정을 발표, 중국산 배터리 부품을 사용하는 전기차는 올해부터 보조금 대상에서 배제했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선 중국산 부품을 공급망에서 제외해야 하는데, 이같은 조치와 역행하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소부장 활용 장단점이 뚜렷한 만큼 도입을 쉽게 결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적용 검토 자체가 수익성 실현에 대한 국내 기업의 고민이 깊다는 방증 아니겠다”고 전했다.
 

이호길 eagles@etnews.com, 정현정 iam@etnews.com

원문
출처
스크랩 0
편집인2024-05-17